카메라 기능 중 스케치업에서는걸어 다니면서 카메라 구도를 잡는 기능도 있습니다. position camera와 look around와 함께 사용하면, 실내 작업에서는 더욱 유용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walk 걷기 도구에 대한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Walk 사용법 walk를 사용하실 땐 실제로 걷는다는 느낌으로 카메라 움직임이 작동한다고 생각하는 것도 좋겠지만, 실제로 제대로 이해하시려면 카메라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걷는다는 것을 알고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position camera - walk 순으로 사용하였습니다. position camera 일단 카메라 높이를 사람 키에 맞추어 줫던 거고요. 이 높이 값에서 walk를 누르고 클리하게 되면 클릭한 곳에 '+' 십..
툴셋들을 보면 포지션 카메라 혹은 룩 어라운드 아이콘을 보셨을 겁니다. 많이 생소 할 겁니다. 일반적으로 무엇을 만드는 툴이 아닙니다. 하지만 장면을 잡는 다던가 카메라 위치를 잡기 위해서 이 둘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이 두가지 포지션 카메라, 룩어라운드의 사용법과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부분을 알고 가시면 이제 실내, 실외 장면 잡는 것과 실내에서 작업하는 것이 훨씬 수월 할 것 입니다. contents 1.사용법 스케치업 기본 단축키는 지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룩 어라운드만 'O'로 지정하여 사용하는 편입니다. 이 이유는 뒤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실상 둘을 따로 설명을 드리기가 어려운게 둘은 연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포지션 카메라를 이용..
스케치업을 열었는데, 오류 메시지가 뜨고 실행이 되지 않는 오류 현상을 경험하셨나요? 도통 어떻게 해야 해결되는지 어제까지만 해도 잘되었던 것 같은데 오늘이 되어서는 실행이 되지 않는 것이 이상했을 겁니다. 오늘 그 원인과 해결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실행 오류 발생 원인 아래의 모든 것을 간단히 요약해 봤습니다. 1.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문제 2. 윈도우 업데이트 3. 윈도우의 지속된 정품 인증 문구 더 정확히 보시려면 계속 읽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 문구의 내용이 너무 작아서 안보이실 텐데 아래와 같습니다. "the following erros were found when launching sketchup: -hardware acceleration is unsupport..
캐드 하신 분들이 스케치업을 하면 다른 것은 둘째치고 가장 많이 쓰는 선이 끊어져서 그려지는 것이 낯설게 느껴지실 겁니다. 그리고 이 선이 나누어져서 그려지고 합치는 게 안되죠. 캐드의 경우 나누어져서 그려지는 line과 결합되어 그려지는 pline이 따로 존재하지만 스케치업은 line 단축키가 단일로 존재합니다. 스케치업 루비 중 weld를 알아 보도록 하며, 어떤 상황에서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Weld 설치 weld는 용접하다 결합하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스케치업에서도 선을 결합하는 용도 사용 이름 지어졌습니다. weld라는 루비는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대표적으로 제가 주로 사용하는 weld 루비는 smustard의 weld 입니다. 위의 링크에서 다..
스케치업에서 줌 인 줌 아웃 다들 사용하시지만 마우스 중앙버튼 이외의 버튼식으로 사용하는 것에서는 좀 더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는 것을 아시는 분이 적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zoom 줌 도구의 사용법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덧붙여 zoom extend와 zoom window의 사용법 역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캐드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으니 캐드 설명도 곁들여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줌 도구 줌의 기본 단축키는 'z'입니다. 간단한 사용법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줌 사용법 ▲ 줌 도구는 위와 같이 커서가 돋보기 모양입니다. 이 돋보기 모양의 커서를 왼쪽 마우스로 클릭 드래그를 하면 줌은 기능을 시작하게 됩니다. 클릭한 해당 부분을 중심으로 드래그를 위쪽으..
이전 시간 지시선의 라벨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따라 다니는 글씨 쓰는 법도 봤습니다. 그런데 이건 3d가 아니였잖아요? 오늘은 2d와 3d 텍스트를 모델링으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3d이니 이를 편집하는 방법도 알 수 있겠죠 ? 그래서 오늘 글은 3d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과 이를 편집하는 방법 시작하겠습니다. contents 3d text 사용법 기능 실행은 Large toolset에서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상단메뉴 tool - 3d Text를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 기능 실행시 위와 같이 Place 3D Text가 뜨게 됩니다. 현재 Enter text라고 되어 있는 문구를 지우고, 원하는 글씨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거기에 원하는 Font와 타입 선택까지 하시면 되겠습니다..
스케치업이 이용되는 곳은 건축, 조경, 제품 등 다양하게 쓰이지만 모두 베이스를 캐드에서 시작하거나 혹은 만들어 놓은 3d 모델링을 다시 2d 도면화 시키기도 하며, 이를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jpg, png로 출력하여 보여주기도 합니다. 여기에 치수가 기입되지 않는 다면 대상 스케일을 가늠하기 쉽지 않습니다. 앞서 가이드라인을 그리고 길이,각도를 재는 도구들을 알아봤습니다만 직접 길이를 표시하는 dim을 출력 할 수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수치를 직접 넣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수치 도구의 사용법과 어떻게 활용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contents 치수 수치 도구 치수 도구 중에서도 수치를 나타내는 도구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 왼쪽이 dimension, 오른쪽이 text의 아..
인테리어, 건축, 조경 등 다양한 3d 모델링을 하다 보면 원하는 텍스쳐를 넣고 싶어도 요즘는 텍스쳐 찾기가 힘듭니다. 이제는 이미지들에 대한 저작권이 강화되고 있어, 구글에 검색을 해보더라도 무료로 된 텍스쳐를 찾기가 힘듭니다. 오늘 그래서 스케치업뿐만이 아니라 텍스쳐를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알려드리는 방법은 스케치업을 쓰시면서 가장 간편하게 무료 텍스쳐를 구하는 방법이라는 점 알려드립니다. contents 3D 웨어하우스 3D 웨어하우스는 현재의 Trimble사 이전 구글이 가지고 있을 때부터 있었던 일반 모델링 공유 커뮤니티 사이트 였습니다. 현재는 더욱 발전하여 아티스트 더 나아가 기업들도 홍보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모델링이 무료 다운로드 ..
이전 시간에 줄자 도구를 이용하여 가이드라인을 그리는 법과 길이를 재는 방법 등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하다보니 이상하게도 각도를 이용하는 방법은 없는지 각도를 재는 방법은 없는지 궁금 하실 겁니다. 그래서 오늘 각도를 재고 각도 가이드라인을 그을 수 있는 각도기 도구 Protractor 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각도기(protractior) 도구 각도기 도구는 기본적으로 스케치업에서 단축키를 지정하지는 않습니다. 사용빈도가 낮은 도구에 속하는 편인 도구이기 때문이죠. 각도를 잴일이 많지는 않으니까요. 사용법 사용법은 줄자를 알고 있다면 훨씬 쉬울 것입니다. 기능이 한가지 밖에 없기 때문이죠. ▲ 각도기 도구의 커서 모양은 회전 도구의 커서 모양과 공유됩니다. 회전과 관련된 도구의..
스케치업 large toolbar나 기본 도구를 보시면 줄자 모양의 아이콘이 눈에 띄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이콘을 보니 길이를 재는 용도로 쓰이는 것 같은데 제대로 쓰는 법을 모르는 분들이 매우 많습니다. 이 줄자 도구의 길이 재는 기능은 정말 작은 기능이며 더 큰 기능이 있습니다. 캐드에서 scale 명령어를 실행하면 참조를 이용하여 해당 선길이 또는 치수를 입력하여 직접 전체 모델의 크기를 원하는 길이만큼 비례하게 조정가능한 기능이 있습니다. 스케치업에서는 이 기능이 줄자 도구에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줄자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이를 더욱 극대화 시켜줄 모델링 참조 스케일 변환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줄자 도구 사용법 줄자 도구의 단축키는 'T' 입니다. 도구의 기능은..
스케치업은 기본적으로 다른 3d 프로그램과 다르게 기본 도형들을 제공해 주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서는 구를 꺼내어 모델링 베이스로 이용하는 것에 반해, 건축, 조경 베이스의 프로그램인 스케치업에서는 바로 선이나 사각형을 꺼내어 사용하다 보니 필요성이 크지 않았지만 플러그인들이 많이 나옴에 따라 기본적인 캐릭터 정도는 만들 수 있게 되었는 습니다. 따라서 베이스 모형에 대한 중요성도 커졌죠. 그래서 오늘은 구를 만드는 것에 대해 몇 가지 알려 드릴까 합니다. 바로 구를 만들어 보러 가보겠습니다. contents 구 만들기 방법 스케치업에 구를 만드는 방식은 어렵진 않지만 기본 도구를 이용하더라도 초보자가 하기엔 조금의 난이도가 필요합니다. 이 점을 유념하시고 제가 중간 링크로 달아..
스케치업으로 열심히 모형을 다 만들고 나니 여기에 구멍 뚫어야 할 일이 생기셨을 때 어떻게 하시나요? 평면인 상태라면 어떻게든 해보겠는데, 이 면에 곡면이 있다면? 어떻게 뚫어야 할까요? 오늘 스케치업의 다양한 구멍 뚫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ontents 구멍 뚫기 방법 스케치업에서 면은 평면, 곡면이 가장 많이 접하는 상황일 텐데요. 초보자 이상이라면 곡면부터 보셔도 되겠습니다. 평면부터 곡면 구멍 뚫기 방법 시작하겠습니다. 평면 구멍 뚫기 방법 우리가 익히아는 push pull 툴을 이용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 위와 같이 해당 벽면에 뚫게 되는 모양을 그려 놓고, push pull 툴로 밀어 버리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앞면이 뒤로 밀리면서 뒤쪽 벽면과 만나게 되면 면이 반짝..
스케치업 쓰시는 분들 중에 캐드 사용하시는 분들도 상당히 많을 텐데요. 캐드에서 축변경은 ucs 명령어를 통해 해당 부분의 축을 변경하여 원하는 직선을 x축으로 만들기도 y축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3d에서 이런 부분들이 더 절실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 스케치업에서 스케치업의 기본 툴 중하나인 axes 툴과 더불어 축 변경과 원점을 변경을 하고 어떨 때 쓰는지 활용법까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축(axes) axis는 알아도 axes는 처음 들을 수도 있습니다. axis는 축이라는 단수 명사 axes는 axis의 복수 명사로 축들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단축키는 따로 존재 하지 않습니다. 저도 지정을 하고 쓰지는 않습니다. 프로젝트마다 축을 다양하게 써야 할 경우에는 ..
스케치업 오프셋 원리가 궁금하시거나 오토캐드의 오프셋과 무엇이 다른지 알고 싶다면 잘 오셨습니다. 3d 캐드를 이용하지 않아 2d 오토캐드 원리로 따지자면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오늘 이 오프셋의 차이점과 스케치업 오프셋 사용법, 활용법 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오프셋(offset) 단축키는 'F' 로 실행 됩니다. 자주 사용되는 키인 만큼 기억하시는게 편합니다. 캐드와 같이 이용하시는 분은 'o'로 바꾸셔도 되지만 o가 기존 스케치업 키로 지정이 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 look을 쓰지 않으신다면 바꾸셔도 좋습니다. 사용법을 간략히 말씀드리자면, 오토캐드에서도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평행복사를 보통 오프셋으로 많이 부르는데, 비슷하게 쓰시면 익히는데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루미온은 심플하고 간단한 조작법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단축키와 화면조정, 간단한 조작법만 아셔도 쉽게 다룰수 있는 렌더링 프로그램입니다. 이 포스팅에서 단축키와 조작법을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중간에는 제가 익히면서 사용에 대해 쉽게 익힐 수 있었던 노하우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저는 모델링 프로그램 베이스를 스케치업으로 하고 있기에 모델링 설명을 해야할 땐 스케치업을 위주로 설명했다는 점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루미온 버전은 12.5를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버전마다 큰차이는 없습니다.) 루미온이 지금 없으시다면 루미온 공식 홈페이지를 가셔서 30일 트라이얼 버전을 사용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아래 루미온 공식과 루미온 코리아 입니다. 처음 공식 홈페이지로 했기에 중간에 한번 선택하니 바꾸..
스케치업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캐드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캐드에서의 필수 기능 중 하나인 미러가 스케치업에는 왜 없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하지만 스케치업에도 미러라고 기능이 명명되지만 않았을 뿐 미러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런 루비 기능이 아닌 스케치업 자체 기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러 기능들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뒤에 활용법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케치업 미러란? 스케치업에서는 미러라는 명칭이 쓰이지 않는 이유는 미러라는 단어 자체가 원래는 통상적인 단어가 아닌 비유적인 기능을 내포한 단어이기에 스케치업에서는 미러라고 표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캐드와 정확하게 똑같은 기능이 아니기에 미러라는 단어를 쓰지 않는 것이죠. 대신 플립이라 명..
스케치업 스케일툴 어떻게 쓰시는지 잘 모르시겠죠? ctrl이나 shift를 누르면 배율이 조정되는 것 같은데 어떻게 조정이 되는 지 잘 모르겠다는 분들이 많습니다.그래서 오늘은 스케일툴에 대해 대해서 전부 다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자세한 설명이니 이해 안되시는 분들이 보시기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을 보시고 나면 스케일 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크게 올라갈 것이라 기대합니다. 스케치업 스케일 툴에는 크기를 키우는 방법 이외에도 실무에서 스케일툴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다양한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케일 툴 단축키는 'S' 로 실행 됩니다. 크기를 키우고 싶은 물체를 선택하고 's' 를 누르게 되면 기능이 바로 실행 확인 할 수 있는데, 누르는 순간 초록색 그립들이 각 꼭지점과 ..
스케치업을 처음 하시는 분이라면 설치하고 나서 대체 여기서 더 어떻게 기본 세팅을 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있죠. 사람마다. 하는 말도 다 다르고, 제가 오늘 화면 구성을 어떻게 하고, 툴을 어떤 것을 먼저 상단이나 사이드바에 둬야 하는지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왜 그렇게 꺼내놔야 좋은지를 설명드릴 테니, 이유를 보시고, 타당하면 툴을 배치하시고 자신의 스타일과는 맞지 않다 하시면 다른 대안까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옵션 설정은 마지막에 있습니다. 스케치업 기본 초기 세팅 방법 일단 기본세팅을 하는 버전은 스케치업 2023을 기준으로 작성했음을 알려드리고, 이후에도 스케치업에 변동이 있을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화면이 2023의 초기 화면입니다. 먼저 툴 세팅을 하도록 하겠습니..
이번 스케치업 강좌에서는 라지 툴 셋 편집 기능 중 팔로우 미 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팔로우 미의 경우 스케치업을 처음 할 때는 좀 사용하기가 까다로운 툴인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오늘 어떤 경우에 이런게 쓰면 좋은지를 유심히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여러 사례들도 보여 드릴테니 천천히 따라 오셨으면 좋겠습니다. 글 순서는 팔로우 미 툴이란?, 사용방법 그리고 응용사례로 나누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팔로우 미 툴이란? 영문으로 follow me 뜻을 말해 보면 '나를 따라 오다' 뭔가 따라서 간다라는 의미가 강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떠한 물체가 어떠한 경로를 따라간다라고 생각을 하시는게 편합니다. 그래서 이 팔로우 미 툴을 사용하실 때 항상 머릿속에 있어야 하는 것이 두가지 있습니다. 첫..
이번 시간엔 Large tool set 의 편집 도구중 회전(rotate) 기능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기능 이용이 상당히 꺼려지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고 봅니다. 왜 그런지 알려드리지면 아직 화면 전환을 하기 위해 마우스와 shift를 자유롭게 활용하지 못해서 그렇습니다. 어떠한 물체를 회전하기 위해서는 그 물체를 중심에 넣고 회전반경으로 어디까지 놓을 것이다는 것을 보통 예상을 한다면 회전 지점과 회전되어야 할 지점이 화면상 옮기기 편하게 바뀌어야 하는데 이부분을 간과하고 보는 부분에서 바로 회전을 시키려고 해서 그렇습니다. 제말이 맞는 것 같다 싶으신 분은 고쳐야 할점이 하나 있습니다. 왼손을 shift있는 지점에서 떼지 마세요. 편하게 배우려고 하지 마세요. 생각부터 고쳐 먹으셔야 합니다. 항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