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치업을 사용하다 보면 루비를 다른 컴퓨터 혹은 자신의 다른 디바이스로 옮겨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루비가 한두 개면 다시 설치하면 그만이지만 스케치업을 조금 쓰시는 분이라면 최소 10개 이상은 설치해 계실 텐데 이걸 작업 때마다 설치하는 것도 정말 번거로운 일이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루비(플러그인)를 한 번에 옮겨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루비 설치스케치업은 오픈 소프트웨어로 sdk로 루비 개발이 가능합니다. 루비라고 했다고 플러그인이라고 했다가 좀 헷갈리 실 텐데 스케치업의 플러그인이 루비입니다. 곧 스케치업에서 plugin - ruby - extension 이라고 하는 말들은 다 같은 의미라고 보시면 편하게 이해 하실 수 있을..
소품 같은 작은 모델링이나 다운로드한 모델들을 배치 할 때 높낮이가 다른 경우 축에 딱 정렬시키고 싶은 경우가 있을 겁니다. 5개 정도면 해 볼만하겠는데 오브젝트 숫자가 10개를 넘어가면 move툴 쓰는 것도 일 입니다.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jhs powerbar에 존재하는 align center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contents 설명align center는 중앙 정렬을 의미합니다.이 기능과 관련된 jhs powerbar의 아이콘은 총 3가지입니다. 3가지 하면 떠오르는 게 있죠. x, y, z 축입니다. align center는 이 3가지 축에 정렬을 의미 합니다. 어떤 식으로 진행되고 사용되는지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법▲ 극단적인 상황으로 예제를 보여 드리겠습니다.위와 같이 ..
익스테리어 모델링을 하다 보면 길이나 도로 또는 선을 따라 모델을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겁니다. 보통 직선이 경우라면 move의 다중 복사를 이용하면 빠르게 가능하겠지만 곡선인 경우가 문제겠죠.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곡선에 등간격 배치하는 방법을 알기 위해 jhs powerbar의 copy along path의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Copy along path, Copy comp path 설명 Copy along path, Copy comp path 이 두 가지 툴은 곡선이든 직선이든 관계없이 group 및 component를 등간격으로 배치해 줍니다. (요소 단독으로는 사용되지 않으니 group이나 comp가 반드시 되어야 합니다.) copy comp pat..
extrude along path, pipe along path, lines to tube 이 세 가지 루비는 생긴 것도 비슷하고 기능도 비슷한 jhs powerbar의 along path 기능들입니다. 3가지다 필요한 기능이니 이 포스팅을 통해 쓰임새와 기능을 익히시기 바랍니다. contents 설명 이 세 가지 기능은 path 즉 라인을 그려 놓은 경로를 따라 그려 나가는 형식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선만 잘 그려도 모델링 하나를 뚝딱 만들 수 있는 유용한 루비이니, 활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용법 extrude along path 루비나 스케치업 기능을 쓰실 때 기억하려 애쓰지 마시고 항상 아이콘 모습을 보고 유추하시는 게 좋습니다. 위의 아이콘 모습을 보면 각재와 같이 사각형 단면이 지..
jhs powerbar에는 유용한 기능 중에는 중요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 루비도 있는 반면 (어쩌다 한 번씩 사용) 엄청 자주 사용하게 되며 없으면 안 될 루비도 존재합니다. 그중 하나가 이 jhs powerbar의 extrude lines입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어떤 기능인지 설명드리고,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는지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extrude lines extude lines를 영어로 해석해보면 선 돌출이라는 뜻이 되겠죠. 말 그대로의 뜻이긴 하나 선뜻 기능이 머릿속에 잘 그려지진 않으실 겁니다. 우리가 면을 돌출 시키는 것은 push/pull기능이 있기에 쉽게 쓸 수 있습니다. 근데 선을 돌출시킨다니, 무슨 말일 까요? 가끔..
이번 포스팅은 jhs powerbar의 offset edge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스케치업 기본에도 offset이 있지만 왜 이 기능을 굳이 따로 루비로 만든 것일까요? 이유는 존재합니다. 오늘 이 offset edge의 사용법과 어떤 시점에서 활용하면 좋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offset edge 스케치업 내에도 오프셋(offset)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오토캐드의 오프셋과는 뭔가 차이가 있습니다. 3d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축을 오프셋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세그먼트 2개 이상인 경우 3d로 offset을 시켜주는 방식이죠. 그래서 캐드의 오프셋과 같다는 전제하에 쓰다가는 선이 오프셋이 되지 않아 당황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그래서 다들 move툴을 이..
jhs powerbar의 수많은 기능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가 face finder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래전 아주 유명한 make face라는 루비가 있었습니다. face finder는 make face 루비의 대체제이며 거의 완벽히 똑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jhs powerbar의 face finder 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Face finder jhs powerbard에서 지정해 놓은 단축키는 없습니다. 또한, 사용법이 워낙 간단하여 쓰는 것에 큰 어려움은 없으실 겁니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 face finder를 많이 이용하는지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 캐드 도면의 선을 이용한 모델링 - 특정 영역 한정하여 면을 만드는 경..
스케치업의 루비 중 정말 내용이 많은 루비 중 하나가 jhs 파워바입니다. 여기에는 기능이 많은 만큼 다양한 기능이 있는데 이걸 전부 한꺼번에 알기란 힘듭니다. 그래서 이 포스팅부터 jhs powerbar 루비 내에 있는 기능에 대한 설명과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JHS bar란? JHS바는 맥스 코폴레타에서 만든 스케치업 루비입니다. 다른 루비와 다른 점은 하나의 주제와 성격으로 집약된 루비와는 다르게 성격이 다른 여러 루비들을 한대 모아둔 루비입니다. 그래서 만든 제작자도 다 다르고, 성격이 같은 기능도 다른 기능도 있습니다. 기능 아이콘에 커서를 올리면 나오는 툴바 tip에는 괄호 내의 제작자 이름이 각각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버전도 많은 루비 인데요. ..
스케치업 건축에서 자주 쓰이는 루비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옛 자료를 뒤지다 보니 예전에 자주 쓰던 펜스, 담장 루비를 발견해서 말이죠. 이 루비 작성했던 루비 포스팅에서 Rb확장명을 이용한 방법으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설치라고 보긴 힘들고, 해당 경로에 넣는 것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contents 스케치업 플러그인 루비 장점, 다운로드 설치법 안녕하세요 도마스 핸드입니다. 오늘은 스케치업에서 플러그인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모든 프로그램이 그렇듯 가장 기본이 되는 프로그램만으로는 모델링이든 리터칭� domashand.tistory.com 위의 포스팅에서 3번 부분으로 쓰시면 되겠습니다. 휀스 루비는 건축 루비 중에서 무료 버전으로 아주 예전에 썼던 루비예요. 스케치업 7,8..
스케치업을 이용하다 보면 모서리가 있는 상태의 모델링은 정말 쉬운데 라운드가 들어가 있는 모가 깎인 형태의 모델링을 만드는 것이 힘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rc를 쓰면 되지 않냐 하지만 모서리가 3개가 만나는 시점부터 형태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모깍이 형태의 fredo6의 라운드 코너라는 루비를 알아보고 무료 다운로드에 사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contents 라운드 코너 Round corner 라운드 코너는 fredo6에서 제공하던 아주 유용한 무료 툴입니다. 그런데 fredo6에서 fredo corner라는 비슷한 bevel 기능을 갖춘 루비를 출시하고 유료화 진행을 했습니다. 그 뒤로 라운드 코너는 업데이트 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져 무료툴로는 남아 있는 ..
캐드 하신 분들이 스케치업을 하면 다른 것은 둘째치고 가장 많이 쓰는 선이 끊어져서 그려지는 것이 낯설게 느껴지실 겁니다. 그리고 이 선이 나누어져서 그려지고 합치는 게 안되죠. 캐드의 경우 나누어져서 그려지는 line과 결합되어 그려지는 pline이 따로 존재하지만 스케치업은 line 단축키가 단일로 존재합니다. 스케치업 루비 중 weld를 알아 보도록 하며, 어떤 상황에서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Weld 설치 weld는 용접하다 결합하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스케치업에서도 선을 결합하는 용도 사용 이름 지어졌습니다. weld라는 루비는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대표적으로 제가 주로 사용하는 weld 루비는 smustard의 weld 입니다. 위의 링크에서 다..